PaaS-TA 로고

  • github
    PaaS-TA github
    수백만명의 개발자가 Github을 사용하여 개인 프로젝트를 구축하고 비즈니스를 지원하며 오픈 소스 기술을 함께 사용합니다.
  • paasta incubator
    PaaS-TA Incubator
    기업들이 파스-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있습니다.
  • cloudfoundry
    Cloud Foundry
    Cloud Foundry는 기업이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하는데 필요한 속도, 단순성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youtube
    Youtube
   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-타 관련 동영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닫기
  1. 파트너쉽
  2. 호환성 확인 서비스
  3. 호환성 확인 서비스 소개

호환성 확인 서비스 소개

호환성 확인 서비스 개요

호환성 확인 서비스는 다양한 SW·서비스들이 파스-타 환경에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서비스입니다.
호환 레벨에 따라 "호환성 확인서"가 발급되고, 호환성 확인 SW·서비스로 등록 공개됩니다.

파스-타 기반 서비스 ⁄ 호환 범위

파스-타 기반 서비스 ⁄ 호환 범위
구분 내용
서비스 연동형 파스-타 외부에 구축되어 파스-타와 서비스브로커 또는 별도 API를 통해
연계·활용되는 SW
  - DB, MessageQueue, Storage 등 백엔드 서비스
  - AI플랫폼, 빅데이터 플랫폼 등 별도 플랫폼 형태로 제공되는 SW
탑재형 파스-타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엔진에서 실행 가능한 앱, 빌드팩, 패키지
형태로 파스-타의 컨테이너 상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SW
  - WEB/WAS, 라이브러리 등의 미들웨어성 SW
  - SaaS
혼합형 연동형과 탑재형에 필요한 모듈(서비스브로커, 빌드팩, 앱 등)이 모두
포함되어야 연계가 가능한 SW

파스-타 기반 서비스 호환 검증 레벨

파스-타 기반 서비스 호환 검증 레벨
레벨 판정 기준
레벨 2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파스-타와 호환될 수 있는 서비스브로커 또는 빌드팩을
개발 ⁄ 연동 시 기능 정상 동작 여부 점검
  - 서비스 브로커 개발 점검 또는 빌드팩 점검
  - 파스-타 연동 점검
레벨 1 설치형 솔루션이 파스-타와 연계 기능 점검
미확인 최소 레벨1과 호환되는 기능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

파스-타 호환성 확인 서비스 신청 절차

파스-타 호환성 확인 서비스 신청 절차 - 상세내용은 하단 참조
  • 수행업체
    • 신청서 작성 후 PaaS-TA(센터)에 전달
    • PaaS-TA(센터)에서 제공한 검증 환경 접근 및 검증
    • 검증 시나리오 작성 후 전달
    • 산출물 작성 및 PaaS-TA(센터)에 전달
  • PaaS-TA(센터)
    • 수행 업체에서 발송한 신청서 접수 후 사전협의 회의 진행
    • 검증 환경 선정 후 검증 환경 생성
    • 수행 업체 측에 검증 환경 정보 전달
    • 검증 환경 확인 후 수행 업체 측에 검증 시나리오 요청
    • 수행 업체 측에서 전달한 검증 시나리오 확인 후 수행
    • 검증 결과서 작성
    • 수행 업체 측에 확인서 발급 요청
    • 수행 업체 측에 산출물 요청
    • 수행 업체 측에 산출물 수령
    • 포털 기재 및 수행 업체 측에 확인서 전달
  • 신청 및 사전 미팅
  • 점검 및 결과 통보
    • 업체에서 작성한 신청서 검토 확인
    • 호환 서비스 검증 점검을 통하여 호환 기능 점검
    • 점검에 따른 이슈 사항 공유
    • 업체에 과제 점검 결과 통보
  • 호환성 확인 관련 산출물 제출
    • 아키텍처 정의서
    • 제품 소개서
  • 확인서 전달 및 포털 게시
    • 확인서 전달 (확인서 초안을 작성하여 업체와 확인 → 인쇄업체와 시안 작업 후 인쇄 → 확인서 우편물 배송)
    • 파스-타 포털 호환성 페이지에 확인정보 등재